산불 '진화대원' 순직에 현직 소방관 분노…왜?'예견된 비극'이라는 비판... 사실상 '고령자 일자리 사업'으로 전락한 제도의 한계전국 곳곳에서 사흘째 대형 산불이 이어지는 가운데 경남 산청 산불을 진화하던 예방진화대원과 공무원이 숨진 사고를 두고 '예견된 비극'이라는 비판이 거셉니다. 사실상 '고령자 일자리 사업'으로 전락한 제도의 한계와 함께, 대원들에 대한 열악한 장비와 교육 실태에 대한 고발이 이어지면서 이번 희생도 이런 구조적 문제에서 비롯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경남 산청에서 산불을 진화하던 산불전문예방진화대원(예방진화대원)과 공무원이 숨진 사고를 두고 '예견된 비극'이라는 비판이 거세다. 24일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지난 21일부터 사흘간 경남 산청, 경북 의성, 울산 울주 등지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산불로 총 8733ha(축구장 1만2천 개 면적)의 산림이 불탔다. 이 과정에서 창녕군 소속 예방진화대원 3명과 공무원 1명이 숨지는 등 총 13명(24일 오전 9시 기준)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이와 관련해 자신을 현직 소방관이라고 밝힌 A씨가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린 글이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A씨는 "산불 진화대원 관련해 정말 화가 난다"며 열악한 장비와 교육 실태를 고발했다.
A씨는 "(이들이) 방화복도 없이 맨몸으로 가는데 정말 위험하다"면서 "일반직 공무원들 화재진압에 대해 잘 모르는데 무조건 위에서 투입하지 않았으면 한다"고 주장했다. 전직 지방직 공무원으로서 과거 대형산불 현장에 투입된 적 있다고 밝힌 B씨도 "보호 장비 전혀 없이 등짐 펌프 하나 메고 잔불 끄는 긁개 하나 들고 투입됐다"면서 "저렇게 바람 많이 불고 산불이 확산되는데 올라가서 어떻게 끄나. 진짜 위험했다"고 증언했다.
더 큰 문제는 농촌·산간 지역의 급속한 고령화 탓에 이 인력들 역시 빠르게 노령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2022년 기준 예방진화대 평균 연령은 61세, 일부 지역에서는 67세에 달했다. 일각에선 고강도 체력을 요구하는 업무임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으론 고령자 일자리 사업으로 전락해 이번 희생도 이런 구조적 문제에서 비롯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마경언 기자 <저작권자 ⓒ NGO글로벌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